본문 바로가기
알면 쓸 데 있는 정보들

의대 과정 인턴 레지던트 전문의 일반의

by 바닷마을주민 2023. 3. 14.

오늘은 의사가 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얼마전에 나는솔로 13기 영수가 본인은 '일반의'로 성형외과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 적이 있었죠.
오늘 글을 읽어보시면 그 말이 무슨 말인지 아실 수 있을 거예요.


이 글은 20살에 의대에 입학한 군 미필 남성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여성은 군대 부분(군의관/공보의)만 빼면 똑같습니다. 

 1. 예과 2년, 본과 4년(20살~25살)
의대에 입학하면 의예과 2년(예과), 의학과 4년(본과)을 거치게 됩니다. 
예과는 본격적인 의학 지식을 배우기 위한 준비(예비)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과 1학년 때에는 일반 교양과목(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이나 철학이나 윤리 같은 교양과목)을,
예과 2학년 때는 생리학, 해부학, 생물학 등의 기초의학과 의료 윤리, 의사학, 의학개론, 의학용어 등을 배우게 됩니다. 

본과로 들어가기 전 워밍업 기간이라고 할 수 있죠.
또한 본과에 가기 전에 나름대로 다양한 경험을 하고, 놀기도 하는 그런 시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본과는 엄청난 암기와의 싸움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본과 1, 2학년 공부의 대부분은 암기시험이구요.
의대 생활에서 가장 힘든 시기라고 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본과 3,4학년때는 주로 병원 실습(pk 실습이라고도 함)을 통해 교육받는 시기라고 합니다. 

본과 시기의 여름방학은 대략 1달 정도이며, 겨울방학은 2달 정도입니다. 
하지만 성적이 좋지않아서 유급 위기에 처하면 재시험을 보면서 방학을 보내야 될 수도 있습니다. 

2. 일반의(나는솔로 13기 영수) 
: 본과 4년을 마친 후 의사 국시에 합격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일반의가 되면 로컬 병원에 취업해서 의사로 일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의가 아니기에 자기 이름을 걸고 'OO이비인후과 의원', 'OO성형외과 의원' 등의 의원을 개원할 순 없습니다. 
일반의는 OO의원(진료과목: 성형외과) 이런식으로 개원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나는 솔로 13기 영수님은 일반의로서 성형외과전문의는 아니지만
성형외과에서 페이닥터로 일 하면서 시술과 레이저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것 같네요.  

3. 인턴 1년(보통 26살 때) 
수련의라고도 하며, 병원에서 여러 과를 돌아다니며 자신에게 맞는 과를 정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나온 인턴 선생님들


4. 레지던트 4년(보통 27~30살)
전공의라고 하며, 보통 4년 과정입니다. (가정의학과의 경우는 3년).
레지던트 과정을 끝내면 전문의 시험을 보고,
합격하면 OO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전문의가 되면 OO피부과 의원, OO소아과 의원 같은 전문분야를 붙인 의원을 개원할 수 있겠죠. 

출처: 대한 피부과 의사회


5. 군의관/공보의 3년(정확히는 38개월, 31~33살)
: 군의관은 국방부 소속의 군인이 되는 것이고, 보통 대위급으로 차출됩니다. 
공보의(공중보건의)는 보건복지부 소속으로 시간활용은 좋으나, 보통 시골이나 도서지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의 후예에서 군의관으로 나온 김지원 배우


6. 전문의를 딴 이후의 진로(34살~)
1) 펠로우(임상강사): 병원에 계속 남아있는 경우이며, 다음단계는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순의 우리가 아는 의대 교수가 되는 과정이겠죠. 
2) 페이닥터: 큰 병의원에 고용돼서 일하는 경우
3) 개원: 여유가 되면 개원을 하기도 함. 

 

 

댓글